
Untitled
Fold the Video
![[티타임즈] 크리에이터 이코노미 - 1,000명의 팬만 있으면 먹고 살 수 있다.-1](https://slid-capture.s3.ap-northeast-2.amazonaws.com/public/capture_images/30d1956c6cea4e82a5b43971e99d0d57/c1c7a16a-9069-43e3-bd0c-325414839fd5.png)
팬 1명당 월 만원씩 결제시, 매월 천만원의 수익을 올릴 수 있다는 이론. (IT 잡지인 와이어드의 전 편집장이자 미래학자인 케빈 켈리가 2008년에 기고한 글: https://kk.org/thetechnium/1000-true-fans/)
하지만... 지금까지 이러한 일이 불가능했음. 크리에이터와 팬 사이에는 플랫폼이 있었는데, 이 플랫폼은 광고를 통해 수익을 올림. 그때 이 광고 수익이 크리에이터에게 거의 공유되지 않았기 때문.
![[티타임즈] 크리에이터 이코노미 - 1,000명의 팬만 있으면 먹고 살 수 있다.-4](https://slid-capture.s3.ap-northeast-2.amazonaws.com/public/capture_images/30d1956c6cea4e82a5b43971e99d0d57/435a0151-abb6-41f9-b36e-02c0b924ceec.png)
최근들어 팬이 플랫폼을 거치지 않고 크리에이터를 직접 구독할 수 있는 방법이 넓어지고 있음. 즉, 플랫폼의 역할은 줄어들고 크리에이터의 영향력은 커지고 있음.
![[티타임즈] 크리에이터 이코노미 - 1,000명의 팬만 있으면 먹고 살 수 있다.-7](https://slid-capture.s3.ap-northeast-2.amazonaws.com/public/capture_images/30d1956c6cea4e82a5b43971e99d0d57/12c47433-a1f1-409b-a0e8-863b32b39f1c.png)
=> 이러한 현상을 크리에이터 이코노미라고 함.
![[티타임즈] 크리에이터 이코노미 - 1,000명의 팬만 있으면 먹고 살 수 있다.-10](https://slid-capture.s3.ap-northeast-2.amazonaws.com/public/capture_images/30d1956c6cea4e82a5b43971e99d0d57/16f69eb9-c524-4be2-abb0-f026a49224f8.png)
크리에이터가 생산한 콘텐츠를 페북/트위터/유튜브 등의 플랫폼에 업로드
![[티타임즈] 크리에이터 이코노미 - 1,000명의 팬만 있으면 먹고 살 수 있다.-14](https://slid-capture.s3.ap-northeast-2.amazonaws.com/public/capture_images/30d1956c6cea4e82a5b43971e99d0d57/bb75bde4-39a1-4c5f-b7ca-e56df4c34964.png)
플랫폼은 크리에이터가 만든 콘텐츠를 보러 모인 사용자들에게 광고를 노출해 수익화.
![[티타임즈] 크리에이터 이코노미 - 1,000명의 팬만 있으면 먹고 살 수 있다.-17](https://slid-capture.s3.ap-northeast-2.amazonaws.com/public/capture_images/30d1956c6cea4e82a5b43971e99d0d57/7eaab5ba-f352-412d-aa79-4661c7fb1aa1.png)
이때 페북/트위터는 크리에이터에게 수익을 공유하지 않음. 유튜브처럼 수익의 일부를 공유하는 플랫폼도 있지만, 그 크기가 크지 않았음.
![[티타임즈] 크리에이터 이코노미 - 1,000명의 팬만 있으면 먹고 살 수 있다.-20](https://slid-capture.s3.ap-northeast-2.amazonaws.com/public/capture_images/30d1956c6cea4e82a5b43971e99d0d57/4542aa30-8603-4aa3-881c-82d74ba7a669.png)
페북/트위터의 성장에 크리에이터의 역할이 절대적이었지만, 그 수 많은 수익은 크리에이터에게 공유되지 않았음.
![[티타임즈] 크리에이터 이코노미 - 1,000명의 팬만 있으면 먹고 살 수 있다.-25](https://slid-capture.s3.ap-northeast-2.amazonaws.com/public/capture_images/30d1956c6cea4e82a5b43971e99d0d57/7e6f218d-4597-4271-bebc-361a496cc316.png)
=> 이와 같은 니즈가 '크리에이터 이코노미'를 만들어냄.
![[티타임즈] 크리에이터 이코노미 - 1,000명의 팬만 있으면 먹고 살 수 있다.-30](https://slid-capture.s3.ap-northeast-2.amazonaws.com/public/capture_images/30d1956c6cea4e82a5b43971e99d0d57/8f6d6544-7a12-41e1-a0f4-aefed20afd8d.png)
실리콘밸리의 유명 투자사 a16z 마크 엔드레센이 말하길, 크리에이터 이코노미는 '세 번째 물결'임.
![[티타임즈] 크리에이터 이코노미 - 1,000명의 팬만 있으면 먹고 살 수 있다.-35](https://slid-capture.s3.ap-northeast-2.amazonaws.com/public/capture_images/30d1956c6cea4e82a5b43971e99d0d57/5b286ec4-f2e0-4514-9bcf-96ded358466c.png)
![[티타임즈] 크리에이터 이코노미 - 1,000명의 팬만 있으면 먹고 살 수 있다.-38](https://slid-capture.s3.ap-northeast-2.amazonaws.com/public/capture_images/30d1956c6cea4e82a5b43971e99d0d57/a8e50158-1cbf-4b73-88b4-96e0eb99ffd5.png)
과거에는 크리에이터가 팬들에게 콘텐츠를 전달하는 방법이 제한적이었음.
최근에는 플랫폼의 역할을 줄이고, 크리에이터의 역할을 늘리는 다양한 서비스들이 등장하고 있음.
서브스택 - 뉴스레터 플랫폼 서비스
![[티타임즈] 크리에이터 이코노미 - 1,000명의 팬만 있으면 먹고 살 수 있다.-47](https://slid-capture.s3.ap-northeast-2.amazonaws.com/public/capture_images/30d1956c6cea4e82a5b43971e99d0d57/05f001e2-01db-4e33-9965-874df8364ad8.png)
크리에이터가 개발/디자인 역량이 없어도 쉽게 뉴스레터를 만들 수 있고, 구독료도 크리에이터가 자율적으로 결정가능. (크리에이터는 구독료의 90%를 수익으로 가져갈 수 있음.)
패트리온 - 팬들이 크리에이터에게 정기적으로 후원하는 플랫폼
![[티타임즈] 크리에이터 이코노미 - 1,000명의 팬만 있으면 먹고 살 수 있다.-51](https://slid-capture.s3.ap-northeast-2.amazonaws.com/public/capture_images/30d1956c6cea4e82a5b43971e99d0d57/6bf431dc-7708-411b-b7eb-61d93b7ecc9c.png)
음악, 영화, 소설, 팟캐스트 등 다양한 콘텐츠를 올릴 수 있음.
현재 20만 이상 크리에이터가 패트리온에 등록되어 있으며, 700만 명 이상의 팬들이 매년 총 10억 달러이상 (약 1조원)을 크리에이터에게 후원함. (패트리온은 5%를 수수료로 가져감)
로블록스 - 개발자가 직접 게임을 만들어서 판매하는 플랫폼
![[티타임즈] 크리에이터 이코노미 - 1,000명의 팬만 있으면 먹고 살 수 있다.-56](https://slid-capture.s3.ap-northeast-2.amazonaws.com/public/capture_images/30d1956c6cea4e82a5b43971e99d0d57/0000547a-b2e5-43de-9f2e-60dafdd34bec.png)
'게임판 유튜브'라고 불림. 현재 로블록스에서 활동하는 개발자/이용자 700만명. 개발자는 자신이 만든 게임을 로블록스에 등록하고, 이용자들은 게임을 즐기기 위해 결제를 함. (여기서 발생하는 수익은 개발자가 가져감.)
쇼피파이 - 판매자들이 직접 쇼핑몰을 만들어 구매자와 직접 연결할 수 있도록 인프라 지원하는 전자상거래 플랫폼
![[티타임즈] 크리에이터 이코노미 - 1,000명의 팬만 있으면 먹고 살 수 있다.-60](https://slid-capture.s3.ap-northeast-2.amazonaws.com/public/capture_images/30d1956c6cea4e82a5b43971e99d0d57/573d5d77-be4a-4208-92bd-0588269d0b8e.png)
국내 사례) 네이버 스마트스토어 & 아이디어스
![[티타임즈] 크리에이터 이코노미 - 1,000명의 팬만 있으면 먹고 살 수 있다.-63](https://slid-capture.s3.ap-northeast-2.amazonaws.com/public/capture_images/30d1956c6cea4e82a5b43971e99d0d57/fb12d1d2-36f2-4a05-a141-f4365aa3a044.png)
![[티타임즈] 크리에이터 이코노미 - 1,000명의 팬만 있으면 먹고 살 수 있다.-64](https://slid-capture.s3.ap-northeast-2.amazonaws.com/public/capture_images/30d1956c6cea4e82a5b43971e99d0d57/44e1a1bd-5893-40cc-b8f7-fa0373f0263d.png)
자신들의 플랫폼에서 활동하던 크리에이터들을 새로운 플랫폼에 빼앗길 수도 있기 때문.즉, 그만큼 크리에이터의 영향력이 커진 것으로 볼 수 있음.
인기있는 콘텐츠가 있어야만 사용자들이 유지가 되는데, 크리에이터들이 빠져나가면 사용자들을 잃게 되기 때문.
그렇기에 애플도 유료 구독 팟캐스트 서비스를 시작.
![[티타임즈] 크리에이터 이코노미 - 1,000명의 팬만 있으면 먹고 살 수 있다.-71](https://slid-capture.s3.ap-northeast-2.amazonaws.com/public/capture_images/30d1956c6cea4e82a5b43971e99d0d57/c4e2c8ef-1cb5-428b-a2b0-1716300e42f5.png)
페이스북은 뉴스레터 플랫폼 출시 예고.
![[티타임즈] 크리에이터 이코노미 - 1,000명의 팬만 있으면 먹고 살 수 있다.-74](https://slid-capture.s3.ap-northeast-2.amazonaws.com/public/capture_images/30d1956c6cea4e82a5b43971e99d0d57/6376705f-4816-4474-bf16-8cac43c3153b.png)
트위터는 뉴스레터 스타트업 Revue 인수 및 크리에이터 후원 기능 추가
![[티타임즈] 크리에이터 이코노미 - 1,000명의 팬만 있으면 먹고 살 수 있다.-77](https://slid-capture.s3.ap-northeast-2.amazonaws.com/public/capture_images/30d1956c6cea4e82a5b43971e99d0d57/6079b232-d769-49af-9e11-5e994fffe4de.png)
![[티타임즈] 크리에이터 이코노미 - 1,000명의 팬만 있으면 먹고 살 수 있다.-80](https://slid-capture.s3.ap-northeast-2.amazonaws.com/public/capture_images/30d1956c6cea4e82a5b43971e99d0d57/da865903-a028-46cb-8011-7b485beb9b34.png)
크리에이터 이코노미에 NFT가 적용될 수 있다는 예측이 많이 나오고 있음.
NFT를 통해 크리에이터가 만든 창작물에 고유한 일렬번호를 매겨서 대체 불가능한 디지털 자산으로 만들 수 있기 때문.
블록체인 기술을 활용한 NFT는 중간매개체(플랫폼)의 역할을 최소한으로 줄일 수 있음. 이 덕분에 크리에이터와 팬이 직접 디지털자산을 공유하고 후원/결제를 할 수 있음.
과거에도 네이버 파워블로거처럼 주목을 받던 크리에이터는 있었음. 하지만 콘텐츠로 수익을 낼 수 있던 사람들은 극히 소수였음. 플랫폼이 콘텐츠 시장을 주도했기 때문.
하지만, 지금은 점차 크리에이터가 콘텐츠 시장을 주도하고 있음. 크리에이터가 이코노미가 앞으로의 콘텐츠 유통시장을 어떻게 변화시킬지 지켜봐야할 것!
👉 더 많은 노트가 궁금하시다면?
![[티타임즈] 크리에이터 이코노미 - 1,000명의 팬만 있으면 먹고 살 수 있다.-92](https://dxsz4k2ia0fcw.cloudfront.net/public/image_upload/c1ed9272a1d847bf8a7a70770afd4669/f2cab202-9cf1-410e-b6cb-ffd109a5fb0b.png)
Last Updated:
Summarize & share videos seamlessly
Loading..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