Untitled

Fold the Video

Loading...

1,000명의 팬 이론

[티타임즈] 크리에이터 이코노미 - 1,000명의 팬만 있으면 먹고 살 수 있다.-1

팬 1명당 월 만원씩 결제시, 매월 천만원의 수익을 올릴 수 있다는 이론. (IT 잡지인 와이어드의 전 편집장이자 미래학자인 케빈 켈리가 2008년에 기고한 글: https://kk.org/thetechnium/1000-true-fans/)

하지만... 지금까지 이러한 일이 불가능했음. 크리에이터와 팬 사이에는 플랫폼이 있었는데, 이 플랫폼은 광고를 통해 수익을 올림. 그때 이 광고 수익이 크리에이터에게 거의 공유되지 않았기 때문.

[티타임즈] 크리에이터 이코노미 - 1,000명의 팬만 있으면 먹고 살 수 있다.-4

최근들어 팬이 플랫폼을 거치지 않고 크리에이터를 직접 구독할 수 있는 방법이 넓어지고 있음. 즉, 플랫폼의 역할은 줄어들고 크리에이터의 영향력은 커지고 있음.

[티타임즈] 크리에이터 이코노미 - 1,000명의 팬만 있으면 먹고 살 수 있다.-7

=> 이러한 현상을 크리에이터 이코노미라고 함.

[티타임즈] 크리에이터 이코노미 - 1,000명의 팬만 있으면 먹고 살 수 있다.-10

현재까지의 콘텐츠 유통구조

크리에이터가 생산한 콘텐츠를 페북/트위터/유튜브 등의 플랫폼에 업로드

[티타임즈] 크리에이터 이코노미 - 1,000명의 팬만 있으면 먹고 살 수 있다.-14

플랫폼은 크리에이터가 만든 콘텐츠를 보러 모인 사용자들에게 광고를 노출해 수익화.

[티타임즈] 크리에이터 이코노미 - 1,000명의 팬만 있으면 먹고 살 수 있다.-17

이때 페북/트위터는 크리에이터에게 수익을 공유하지 않음. 유튜브처럼 수익의 일부를 공유하는 플랫폼도 있지만, 그 크기가 크지 않았음.

[티타임즈] 크리에이터 이코노미 - 1,000명의 팬만 있으면 먹고 살 수 있다.-20

페북/트위터의 성장에 크리에이터의 역할이 절대적이었지만, 그 수 많은 수익은 크리에이터에게 공유되지 않았음.

  • 사용자들은 플랫폼이 강요하는 추천 알고리즘과 점차 많아지는 광고에 피로도를 느끼고,
  • 크리에이터들은 수익이 배분되지 않는 것에 불만을 느낌.
[티타임즈] 크리에이터 이코노미 - 1,000명의 팬만 있으면 먹고 살 수 있다.-25

=> 이와 같은 니즈가 '크리에이터 이코노미'를 만들어냄.

크리에이터 이코노미

[티타임즈] 크리에이터 이코노미 - 1,000명의 팬만 있으면 먹고 살 수 있다.-30

실리콘밸리의 유명 투자사 a16z 마크 엔드레센이 말하길, 크리에이터 이코노미는 '세 번째 물결'임.

  • 첫 번째 물결은 온라인에서 아무도 돈을 벌거나 쓰지 않았다.
  • 두 번째 물결에서는 광고를 통해 온라인 서비스들이 돈을 벌었던 시기다.
  • 세 번째 물결에서는 구독자와 크리에이터가 직접 연결돼 크리에이터가 직접적으로 수익을 올릴 수 있게 될 것이다.
[티타임즈] 크리에이터 이코노미 - 1,000명의 팬만 있으면 먹고 살 수 있다.-35

크리에이터를 위한 플랫폼들

[티타임즈] 크리에이터 이코노미 - 1,000명의 팬만 있으면 먹고 살 수 있다.-38

과거에는 크리에이터가 팬들에게 콘텐츠를 전달하는 방법이 제한적이었음.

  • 글 -> 블로그
  • 이미지 -> 페이스북/인스타그램
  • 동영상 -> 유튜브

최근에는 플랫폼의 역할을 줄이고, 크리에이터의 역할을 늘리는 다양한 서비스들이 등장하고 있음.

예시)

서브스택 - 뉴스레터 플랫폼 서비스

[티타임즈] 크리에이터 이코노미 - 1,000명의 팬만 있으면 먹고 살 수 있다.-47

크리에이터가 개발/디자인 역량이 없어도 쉽게 뉴스레터를 만들 수 있고, 구독료도 크리에이터가 자율적으로 결정가능. (크리에이터는 구독료의 90%를 수익으로 가져갈 수 있음.)

패트리온 - 팬들이 크리에이터에게 정기적으로 후원하는 플랫폼

[티타임즈] 크리에이터 이코노미 - 1,000명의 팬만 있으면 먹고 살 수 있다.-51

음악, 영화, 소설, 팟캐스트 등 다양한 콘텐츠를 올릴 수 있음.

현재 20만 이상 크리에이터가 패트리온에 등록되어 있으며, 700만 명 이상의 팬들이 매년 총 10억 달러이상 (약 1조원)을 크리에이터에게 후원함. (패트리온은 5%를 수수료로 가져감)

로블록스 - 개발자가 직접 게임을 만들어서 판매하는 플랫폼

[티타임즈] 크리에이터 이코노미 - 1,000명의 팬만 있으면 먹고 살 수 있다.-56

'게임판 유튜브'라고 불림. 현재 로블록스에서 활동하는 개발자/이용자 700만명. 개발자는 자신이 만든 게임을 로블록스에 등록하고, 이용자들은 게임을 즐기기 위해 결제를 함. (여기서 발생하는 수익은 개발자가 가져감.)

쇼피파이 - 판매자들이 직접 쇼핑몰을 만들어 구매자와 직접 연결할 수 있도록 인프라 지원하는 전자상거래 플랫폼

[티타임즈] 크리에이터 이코노미 - 1,000명의 팬만 있으면 먹고 살 수 있다.-60

국내 사례) 네이버 스마트스토어 & 아이디어스

[티타임즈] 크리에이터 이코노미 - 1,000명의 팬만 있으면 먹고 살 수 있다.-63
[티타임즈] 크리에이터 이코노미 - 1,000명의 팬만 있으면 먹고 살 수 있다.-64

빅테크 기업들이 크리에이터 이코노미에 합류하는 이유

자신들의 플랫폼에서 활동하던 크리에이터들을 새로운 플랫폼에 빼앗길 수도 있기 때문.즉, 그만큼 크리에이터의 영향력이 커진 것으로 볼 수 있음.

인기있는 콘텐츠가 있어야만 사용자들이 유지가 되는데, 크리에이터들이 빠져나가면 사용자들을 잃게 되기 때문.

그렇기에 애플도 유료 구독 팟캐스트 서비스를 시작.

[티타임즈] 크리에이터 이코노미 - 1,000명의 팬만 있으면 먹고 살 수 있다.-71

페이스북은 뉴스레터 플랫폼 출시 예고.

[티타임즈] 크리에이터 이코노미 - 1,000명의 팬만 있으면 먹고 살 수 있다.-74

트위터는 뉴스레터 스타트업 Revue 인수 및 크리에이터 후원 기능 추가

[티타임즈] 크리에이터 이코노미 - 1,000명의 팬만 있으면 먹고 살 수 있다.-77

크리에이터 이코노미의 미래모습

[티타임즈] 크리에이터 이코노미 - 1,000명의 팬만 있으면 먹고 살 수 있다.-80

크리에이터 이코노미에 NFT가 적용될 수 있다는 예측이 많이 나오고 있음.

NFT를 통해 크리에이터가 만든 창작물에 고유한 일렬번호를 매겨서 대체 불가능한 디지털 자산으로 만들 수 있기 때문.

블록체인 기술을 활용한 NFT는 중간매개체(플랫폼)의 역할을 최소한으로 줄일 수 있음. 이 덕분에 크리에이터와 팬이 직접 디지털자산을 공유하고 후원/결제를 할 수 있음.

마무리

과거에도 네이버 파워블로거처럼 주목을 받던 크리에이터는 있었음. 하지만 콘텐츠로 수익을 낼 수 있던 사람들은 극히 소수였음. 플랫폼이 콘텐츠 시장을 주도했기 때문.

하지만, 지금은 점차 크리에이터가 콘텐츠 시장을 주도하고 있음. 크리에이터가 이코노미가 앞으로의 콘텐츠 유통시장을 어떻게 변화시킬지 지켜봐야할 것!


👉 더 많은 노트가 궁금하시다면?

[티타임즈] 크리에이터 이코노미 - 1,000명의 팬만 있으면 먹고 살 수 있다.-92

Last Updated:

Summarize & share videos seamlessly

Loading...